
<Betweenless> 백승우 Back Seung Woo
내일 모레 시험인데 미술관에 갔다. Visited art museum although 2 days before for the final exam.
"고등학생"이라는 칭호가 어색하던 지난 3월부터 이제는 "익숙한 고등학생"이 된 지금까지 1년 동안의 내 삶은 "건축가를 꿈꾸며 모래성만 쌓고있는 기분" 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원대한 야망을 말하고 다니지만, 정작 아무 것도 이뤄 내지 못한 삶 말이다. 나아짐이 없는 학교 성적과 사투하며 보냈던 나날들은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의 결말을 '물고기의 살이 모두 상어에게 뜯어먹히고 뼈만 남았음을 알게 된 노인이 허탈함을 느끼고 집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의욕을 잃고 망망대해를 표류하며 죽음을 택하는' 것으로 바꾸어 설명할 수 있다. 그런 생활에 표백되었던 나에게 다시 삶을 불어넣기 위해 미술관을 찾았다. 이곳은 나의 도피처이다.
From An year ago, unfamiliar to be called "high school student", to being "professional high school student", my life in that period can be summed up with "only building sandcastles even dreaming architect". Which was although I cried great ambitions every hours, whereas achieved nothing. For fill my life again on me, I visited art museum. Here is my place of escape.
From An year ago, unfamiliar to be called "high school student", to being "professional high school student", my life in that period can be summed up with "only building sandcastles even dreaming architect". Which was although I cried great ambitions every hours, whereas achieved nothing. For fill my life again on me, I visited art museum. Here is my place of escape.

<호흡 To Breathe> 김수자 Kimsooja

<폭포 Waterfall> 양지앙 Yangjiang


<강제추방 반대 핫케이크 *Pancake against forced expulsion> 믹스라이스 mixrice
*sorry for did not record official title of work

[전시 공예공방: 공예가 되기까지 공간구성도
Exhibition Craft Narrative: The Place, Process, Perspective place arrangement map]

A part of <보이드 폼, 보이드 커넥션 Void Form Void Connection>중 일부 오픈하우스서울 OPENHOUSE Seoul
